중소SI기업과의 장기적인 파트너관계를 형성하여야…

오늘 정통부에서 전격적으로 SW분리발주제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SW분리발주제 전격도입

Turnkey발주관행을 벗어나서 중소솔류션전문업체에게 제 값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실시한다고 합니다.다만 이번 조치가 공공부문에 국한되기때문에 민간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민간부문에서도 이런 제도가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물론 시행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제도의 도입취지”를 잊지않고 시행내용을 모니터링하면 충분히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이에 덧붙여 민간부분에서 중소SI업체가 활성화되기 위해 발주처와 공급사가 장기적인 “파트너”관계를 맺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 신문에서 이런 글을 보았습니다.

시장을 잘못 읽은 차업계 해결사

제가 눈으로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일본이 10년불황을 극복하는데 일조를 한 것이 대기업(발주처)와 중소업체사이의 장기적인 협력관계가 큰 역할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이런 식입니다. 대기업이 여력이 있을 때 중소기업의 자금부문에 도움을 주고 대기업이 어려움이 있을 때 기술개발,생산성향상등을 이룩하여 대기업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일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전통적인 관계가 결국 생산성향상을 가져왔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불황을 이겨낼 수 있었다는 이야기인데.카를로스 곤회장은 서구적인 관계를 도입하여 이런 긍정적인 역할을 훼손하였다는 지적이지 아닐까요.

현재 발주체에게 중소IT공급업체는 일회용 반창고와 같은 관계가 아닐까 합니다. 발주처는 중소공급업체로부터 최저의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해줄 것을 요구하고 중소업체는 현금회전을 위하여 울며 겨자먹기로 저가로 공급을 합니다. 그리고 신제품을 도입할 때 또다시 여러업체에게 제안서를 보내 저가로 입찰한 업체에게 공급권을 줍니다. 발주처는 기술적인 요인뿐 아니라 발주처 업무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같은 무형적인 요인을 평가하지 않고 오직 가격요인만을 평가합니다.

지난 몇년동안 증권IT업계는 발주물량의 부족과 저가발주로 인하여 대부분의 업체가 문을 닫고 많은 IT기술자들은 중노동과 상대적인 저임금을 이기지 못하고 다른 부분으로 옮겼거나 업계를 떠난 상황입니다. 지난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은 업체들의 경우 예전에 비해 수익성은 좋아졌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안정적으로 경영을 하면서 R&D까지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신기술을 개발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국,유럽의 금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기술을 도입,상품화하는 것도 쉽지않은 상황입니다.

분명 시장에게 경쟁에서 뒤진 기업을 퇴출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시장에서 평가받은 기업에게는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공생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