늪지형 불황과 스타트업 구조조정

1.
닷컴 버블(Dot-com Bubble) 이천년대 초반 인터넷기반의 기술기업의 주가가 폭락한 현상을 말함니다.

닷컴 버블(dot-com bubble)은 인터넷 관련 분야가 성장하면서 산업 국가의 주식 시장이 지분 가격의 급속한 상승을 본 1995년부터 2000년에 걸친 거품 경제 현상이다. IT 버블, TMT 버블, 인터넷 버블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이 시기는 흔히 닷컴 기업이라 불리는 인터넷 기반 기업이 설립되던 시기였으며 많은 경우에 실패로 끝났다.

한국도 IMF이후 국민의정부가 추진한 정책으로 벤처열풍이 불었습니다. 그리고 코스닥의 주가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습니다.

우리나라에‘벤처기업’이란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997년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특별조치법」의 제정 이후다. 그 이전에는 벤처기업이라는 용어보다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정부는 1986년 「창업지원법」의 제정에 의하여 창업투자회사를 설립하도록 하여 기술 집약적 중소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이러한 노력이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한 가운데 1996년 코스닥의 설립과 함께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7년
IMF 경제위기로 인하여 코스닥 시장은 극도로 침체되었다가 1999년 4월부터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더니 연말에는 과열현상까지 보이게 되었다. 1999년말 코스닥 시가총액은 106조3천억원에 이르렀다. 1년 사이에 12배 이상이 증가한 것이다. 창투사도 지난 1년간 26개사가 증가하여 연말에 94개가 되었으며 투자재원도 3조원이 넘었다. 투자행태도 융자중심에서 투자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창업단계의 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여 업력 3년이하의 기업에 대한 투자가 76.6%에 이르고 있다.업종별로 전기전자가 34.3%, 기계금속 분야가 23.7%를 차지하고 있다.이러한 현상을 볼 때 한국의 벤처산업은 지난 3
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슴을 알 수 있다.

이천년 코스닥의 주가지수는 곤두박질하였습니다. 벤처열풍에 이은 닷컴버블의 붕괴입니다. 이후 10여년이 흐른 후 스타트업 열풍이 미국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Tech Startup Bubble입니다. 물론 거품인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 터지면 거품이라고 하고 아니면 성장이라고 사후에 선언할 뿐입니다.

그리고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버블의 붕괴를 언급하는 기사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5월 월스트리트저널에 실린 기사들입니다.

This Tech Bubble Is Bursting
Is the Tech Bubble Popping? Ping Pong Offers an Answer

미국 Startup의 주가지수 추이는 The Startup Stock Tracker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번역 기사입니다.

전 세계 기술 스타트업의 집약지인 실리콘밸리에도 경기불황에 따른 구조조정 한파가 휘몰아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벤처기업의 분위기에도 빨간불이 켜졌다는 징후가 발견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스타트업들은 직원 복지를 잘 해주기로 유명했다. 벌어들이는 돈이 많고 많은 투자유치를 하면서 음식을 공짜로 제공하고 파티를 열어주기도 했는데 최근에 이런 분위기는 경기가 나빠지면서 뚝 끊겼다.오히려 임직원의 25%를 해고하고 각종 혜택도 없앴다. 친목활동 지원이나 무료 통근버스, 세탁서비스 혹은 금요일에 체육행사등 모두 없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최근 실리콘밸리에서는 연초부터 구조조정이 끊이지 않는데 이는 중 국 경제의 저성장이 주된 이유이고 전세계적으로 경기가 나빠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기업분석업체 ‘다우존스 벤처소스’가 밝힌 미국 스타트업 투자 추이에 따르면 1분기(1∼3월) 미국 스타트업 투자는 지난해 4분기(10∼12월)보다 25% 감소했고 이는 최근 4년 동안 가장 낮은 수치이다.
실리콘밸리의 구조조정과 국내 벤처의 감원 분위기 중에서

2.
그러면 한국은 어떤가요? 신문을 보면 그리 희망적이지 않은 듯 합니다. 구조조정중입니다.

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등에 업고 창업 시장이 과열되면서 우려돼 왔던 ‘스타트업 거품론’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체적인 투자 위축보다는 성장 가능성이 뚜렷한 스타트업에 자금이 집중되는 투자 시장 개편에 따른 조정 국면으로 보는 시각도 없지 않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유명 벤처캐피탈(VC)로부터 100억원 이상의 누적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는 스타트업 A사는 전체 직원의 25%를 줄이는 인력 감축에 나섰다. 후속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비용 절감을 요구해왔기 때문이다.또다른 스타트업 B사의 경우, 인력 감축과 함께 사무실 임대공간까지 절반으로 줄였다. 이 회사는 그동안 수익모델보다는 서비스 완성도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번 구조조정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이 역시 후속 투자 유치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말이 나온다.

주요 O2O(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결) 스타트업 중 한 곳은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한 후 본격적인 인력 충원에 나서려던 계획 자체를 아예 보류했다.스타트업들이 주로 찾는 부동산 중개 사이트 관계자는 “최근 사무실을 옮긴 스타트업 10곳 중 9곳은 임차 공간을 줄였다”며 “투자가 줄어들면서 비용을 아끼려는 곳이 많아진 탓”이라고 말했다.업계에서는 벤처투자 중 서비스 완성 또는 정착 단계에서 필요한 투자금(시리즈A 이상) 집행이 줄어들면서 스타트업들이 생존을 위한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섰다고 보고 있다.
스타트업 업계도 구조조정…줄줄이 ‘감원 한파’중에서

미국이나 한국 모두 구조조정으로 내몰린 이유가 무엇일까요? 스타트업으로 들어오는 자금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좀더 들어가면 투자자들이 성장성이 아니라 수익성으로 투자기준으로 바꾸었기때문입니다. 우선 미국 실리콘밸리입니다.

실리콘밸리에 갑작스레 돈줄이 마른 이유는 투자자들의 초조함 때문이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스타트업들이 모은 투자자금은 약 600억달러로 2013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었다.LAT는 투자자 사이에서 국제경기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데다 미국 증시마저 하락세를 보이자 경제 상황이 더욱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스타트업 투자자들이 더 이상 투자기업의 빠른 성장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향후 재정계획을 궁금해 한다는 것이다.

미국 클라우드펀딩 업체인 패치오브랜드의 제이슨 프리튼 CEO는 “과거 벤처투자에서는 수익성을 언급하는 것을 꺼렸는데 이는 투자기업이 (당분간)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다는 의미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제 수익성은 투자를 시작할 때 처음으로 제기하는 문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투자자들이 이처럼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자 스타트업들도 IPO를 미루려는 추세다. 지난달 미국 증시에서는 2011년 9월 이후 처음으로 단 한 건의 IPO도 열리지 않았다. LAT는 투자자들이 주로 투자를 회수하는 부분이 IPO라며 투자심리가 더욱 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금줄 말라가는 美 스타트업.. 실리콘밸리 구조조정 ‘칼바람’중에서

한국 스타트업중 가장 많은 투자자금이 몰렸던 O2O분야입니다. 속 빈 강정 O2O 창업, 한계 상황 다가오나가 정리한 도표입니다.

803822_20160520175433_258_0004

국내 온·오프라인연계(O2O) 분야 등 모바일서비스 벤처기업이 적자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소셜커머스, 배달, 숙박, 자동차 등 모바일사업 1위 기업이 예외 없이 대규모 적자로 허덕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기술 장벽이 아닌 자본 장벽으로 후발 주자를 제친 대가라고 지적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쿠팡(-5470억원), 티켓몬스터(-1419억원), 위메프(-1424억원) 소셜커머스 등 3사가 지난해 총 8000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갑절 이상 매출 성장을 내고도 적자를 기록한 배달의민족(-250억원)과 옐로모바일(-468억원), 야놀자(-76억원), 쏘카(-60억원) 등 창업 5년을 넘기고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딱지를 뗀 기업들이 일반 기업이라면 부실 논란을 일으킬 정도의 적자를 기록했다. 내수시장 위축에 1분기 계절적 비수기를 통과하는 기업들의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사업 초반에 유사 애플리케이션(앱)이 난립하면서 경쟁사 대비 많은 가입자를 모으기 위해 대규모 광고 집행, 프로모션, 할인쿠폰 발행 등으로 부담을 떠안은 것이 문제다. 매출이 늘었지만 인건비, 판매촉진비 등이 최대 3배 이상 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됐다. 야놀자는 2014년 12억원 수준이던 광고선전비가 지난해에만 110억원을 넘게 쓰면서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됐다.
수익 돌파구 안 보이는 모바일 창업, 1위기업도 예외 없어중에서

수익성이 투자기준으로 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에 대한 지식이 없으므로 짐작할 수 없지만 한국의 경우 불황이 원인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성장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면서 안전성을 기준으로 투자를 하기때문으로 보입니다.

3.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보고서의 제목은 현 불황기의 다섯 가지 특징과 시사점입니다만 부제가 ‘늪지형 불황’입니다. 섬뜩한 제목입니다.

늪지형불황

보고서는 금융위기(2008년)와 재정위기(2010년) 이후의 우리 경제의 생산 활동성이 조금씩 약화되면서 점차 불황의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1년 이후 우리 경제는 계속 저성장 하는 모습이다. 2011년 3.7%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2012년과 2013년 다시 2%대 성장으로 주저앉았다. 2014년 3.3%로 잠시 반등하는 모습이었지만, 2015년에는 2%대 성장률로 되돌아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한국 경제의 경기 선도 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업 경기에서 이런 ‘늪지형 불황’의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제조업의 생산증가율은 이전보다 크게 낮아져 그 추세 주체가 우하향(右下向)하고 있다는 것이다.

Download (PDF, 888KB)

KDI가 내놓은 2016년 상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인 KDI 경제전망, 2016 상반기도 우울한 전망입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2%대로 내려잡았다. 특히 수출부진이 지속되면서 내년에도 2%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해 한국경제의 저성장 구조가 고착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KDI는 24일 내놓은 ‘2016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제시한 3.0%에서 2.6%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는 정부가 예상하는 올해(3.1%) 성장률 전망치보다 0.5%포인트(P) 낮은 것으로 지난해(2,6%) 성장률 확정치와 동일하다.KDI는 내년 전망치로는 2.7%를 제시했다.
KDI, 성장률 3.0→2.6% 하향…”구조조정 실패시 추가둔화”중에서

KDI

Download (PDF, 4.01MB)

4.
대마불사(大馬不死)이지만 소마필사(小馬必死)입니다. 물론 ‘절대적’이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죽을 확률이 높습니다. 더욱이 스타트업은 새싹입니다. 외풍에 쉽게 흔들립니다. 뿌리를 잘 내려야 합니다. 뿌리는 수익성입니다. 수익성을 기준으로 의사결정을 해서 힘든 시기 잘 이겨냈습니다. 사실 오래전 저는 성장을 택해서 실패했습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